이란에서 죽었다 살아난 사형수 문제 관련 구명 요구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. 이란 사법당국은 마약사범인 알리레자(37)를 10월 초에 교수형에 처했고 형 집행 12분 뒤 참관 의사가 사망을 확인한 뒤 시신 안치소로 옮겨져 다음날 가족들이 시신을 넘겨받으려고 보관함을 열었을 때 알리레자는 의식을 회복해 두 눈을 뜨고 있었고 병원으로 옮겨져 살아났다는것. 사형의 목적이 하나의 뇌를 중단시키는것이 목적인것인지, 아니면 사형 행위 자체 인지에 대한 강한 의심이 필요하다고 봄. 뇌로부터 구속된 세상에 살다보니 우리가 그 이상의 존재라는 사실을 …
최신 글
- 프리드리히 니체 – 《음악 정신으로부터 비극의 탄생(독일어: Die Geburt der Tragödie aus dem Geiste der Musik)》- 바이올린 학습으로서 조망
- 심신 수반(supervenience)에 관하여
- Amur waves (Амурские волны아무르강의 물결)
- 남성의 웅혼이 느껴지는 표도르 튜체프의 시 – 당신을 만났습니다.Я встретил вас(야 트스트틸 바스 Ya vstretil vas)
- 표도르 이바노비치 튜체프(러시아어: Фёдор Ива́нович Тю́тчев, 1803년~1873년) 침묵