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구미 만유기 일 년 팔 개월 간의 나의 생활은 이러하얏다. 단발을 하고 양복을 입고 빵이나 차를 먹고 침대에서 자고 스켓치 빡스를 들고 연구소를 다니고 책상에서 불란서 말 단자(單字)를 외우고 때로난 사랑의 꿈도 뀌여 보고 장차 그림 대가가 될 공상도 해보앗다. ~ 실상 조선 여성으로서는 누리지 못할 경제상으로나 기분상 아모 장애되난 일이 하나도 업섯다.” 조선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인 나혜석(1896-1947)의 구미 만유기의 한 부분. 1927년 유럽과 미국 시찰을 가게 된 남편을 따라 여행길에 올라 경성역에서 대륙횡단열차를 타고 …
최신 글
- 프리드리히 니체 – 《음악 정신으로부터 비극의 탄생(독일어: Die Geburt der Tragödie aus dem Geiste der Musik)》- 바이올린 학습으로서 조망
- 심신 수반(supervenience)에 관하여
- Amur waves (Амурские волны아무르강의 물결)
- 남성의 웅혼이 느껴지는 표도르 튜체프의 시 – 당신을 만났습니다.Я встретил вас(야 트스트틸 바스 Ya vstretil vas)
- 표도르 이바노비치 튜체프(러시아어: Фёдор Ива́нович Тю́тчев, 1803년~1873년) 침묵